강의를읽다,세상을보다 (65) 썸네일형 리스트형 적은 돈으로 재산을 모으는 가장 좋은 방법 여러분들은 어떤 방식으로 재산을 모으고 있나요? 어떤 분들은 예적금이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할 것이고, 부동산 투자나 주식을 투자하기도 하죠. 저도 사실 위의 방식으로 얼마 안 되는 월급을 쪼개가면서 나름 재산을 지키고 있는데, 사실 더 좋은 방법이 있더군요. SK 주식회사 이동훈 부사장님의 강의를 통해 우리가 투자하는 방식을 하나 더 배울 수 있는 시간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 같은 경우 미국에서 유학시절 중국집을 했어요. 대학원 선배님이 저에게 투자를 제의했고 같이 동업에 참여를 했어요. 처음에는 조금 주저했지만 서로 동업에 대한 원칙을 지키면서 선배는 주방을 하고 저는 배달을 했어요. 그 자본이 뉴욕으로 이사 갈 때 집을 살 수 있었고 처음으로 시작한 소액 자본이 지금 저의 주거공간을 만들어준 거죠.. 나이 들수록 돈 걱정 안하고 사는 법 혹시 여러분들은 노후 준비를 어떻게 하고 있나요? 아시겠지만 우리나라가 노인 빈곤율이 가장 높은 나라로써 백세시대에 노후 준비는 정말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해요. 그럼 우리가 왜 노후에 돈이 없는지부터 이유를 알아야할거 같아요. 우선 부모가 되면 자녀에게 돈이 가장 많이 들어갑니다. 어릴 때는 입히고 먹이는 거에 그치지만 클수록 사교육비와 등록금, 취업 후에도 결혼자금까지 부모가 마련해줍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는 게 과연 아이들을 위한 길인지 이번 강의를 통해서 꼭 다시 한번 생각을 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어떤 분은 이렇게 말씀하실 거예요. '에이, 그래도 갈 때 자식들한테 집 한 채는 주고 가야지' 그런데 생각해보세요. 백세시대에 백살에 간다고 하면 자식에게 집을 줘 봐야 자식은 이미 칠십 .. 후회없이 사는 법 저는 혜민스님의 광팬인데요. 모든 서적을 다 구매해서 정독을 하고 소장을 하고 있습니다. 보통 혜민스님은 마음 치유하는 분이라고 많이들 알겠지만 저는 인생을 보다 더 지혜롭게 살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분인 거 같아요. 오늘은 짧은 강의를 한 개 가져와봤는데요. 모두가 고민하는 잘 사는 법에 대해서 팁을 주셨어요. 그럼 한번 보실까요? 저희가 생활하면서 행복하게 살아야 하는데 행복하지 않은 이유는 자기 스스로가 삶의 주도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내가 내 삶의 주인공으로 살고 있는지, 아니면 어쩔 수 없이 남들이 나한테 기대하는 삶을 살고 있는지, 남들이 바라고 요구하는 삶을 살아주니까 힘든 거예요. 인생을 행복하게 살려면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내가 뭘 하고 .. 멈춤 없는 성장의 원리 우리는 늘 성장하기를 소망하고 또 성장하기 위해 노력을 하는 거 같습니다. 학생은 학교를 다니면서도 여러 방면의 스펙을 쌓기도 하고 직장인은 회사 업무를 하면서도 자기 계발을 열심히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이 성공한다는 건 아닙니다. 그럼 성장에서 가장 중요한것이 무엇일까요? 오늘의 강의에서 몇 가지 요점이 소개되지만, 가장 와 닿는 게 습관인 거 같습니다. ‘실패한 사람과 성공한 사람의 차이는 단 한 가지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습관의 차이가 그것이다. 좋은 습관은 모든 성공의 열쇠이며 나쁜 습관은 실패를 향해 열린 창문과 같다.’ 저는 오늘도 여러분들이 한단계 더 성장하고 또 성공하는 인생을 사시기를 기도하겠습니다. 기업은 원래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성장을 하는데 그런데 어떤 기업은 15년 .. 행복한 가족관계를 위한 4가지 방법 혹시 여러분들은 가족과 어떤 사이인가요? 사랑하지만 조금 어려운 관계일 수도 있고, 보고 싶지만 가까이 다가가기는 부담스러운 관계일 수도 있어요. 그래서 가족은 참 가장 가까우면서도 어려운 관계인 거 같아요. 저 또한 부모와의 관계가 그렇게 건강하지 않기 때문에 늘 그저 서로 안전한 선안에서 자식으로서 최소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거 같아요. 너무 아픈 추억은 꺼내기조차 두렵고 힘드니깐요. 아이러니하게 제가 시집을 가고 아이를 낳고 세월이 지날수록 부모 또한 똑같이 저와 같은 안전선을 지키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어요. 저는 그렇게 정말 출가외인이 되었고 저의 부모는 그저 가끔 이름만 부르는 친정부모가 되었어요. 서로에 대한 기대와 바램이 없기 때문에 상처도 애틋함도 없는 그저 그런 사이가 되어버렸죠... 직장 다닌다고 직업 생기지 않는다 오늘 저희 회사 1층에 공채생들이 시험을 보고 있는 장면을 보았는데요. 어린 청년들의 풋풋함을 보면서 잠시 제가 20대에 입사할 때의 모습을 떠올리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생기고 30대가 되면서 점점 퇴사 이후의 삶을 걱정하는 날이 많아졌습니다. 사실 우리는 모두 알고 있습니다. 평생 직장은 없다는 것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장보다 안전한 곳은 없다고 생각하기에 오늘도 우리는 열심히 출근을 하고 일을 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뾰족한 대책이 없기 때문에 그냥 생각지 않고 도피했던 거 같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중위연령이 점점 높아지면서 노후의 생활을 어떻게 지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가난한 노인은 되고 싶지 않은데 말이죠. 그래서 오늘은 어떻게 하면 평생 직업을 가지면서 노후를 만족하게 보낼 수 있.. 왜 어떤 아름다움은 불편할까요? 여성분들이 평생 하는 게 있습니다. 바로 다이어트죠. 날씬하고 싶고 이쁘다고 칭찬받고 싶고 사랑받고 싶으니깐요. 하지만 그 선택은 내가 원해서인지 타인의 시선과 평가로 인한 건지 꼭 아셔야 합니다. 내가 원하는 아름다움, 내가 원하는 모습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대한민국에서 지적과 외모를 다가진 직업 아나운서로 살면서 어떻게 시선과 평가로부터 자유로워졌는지의 이야기를 통해 다시 한번 아름다움의 정의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오늘의 강의를 함께 보실까요? 저는 방송에 나오는 직장인입니다. 현재 MBC 8년차 아나운서이고 방송국에서 일한 지는 12년 차 되었습니다.년에 처음 뉴스 앵커를 했을 때 많이 설레었습니다. 책임감과 무게감을 알았기 때문에 잘하고 싶었고 열심히 했습니다. 그런데 .. '미안하다'는 고백의 힘 사과에도 유명한 말이 있죠. 사과를 할 때는 사과만 해야지, 그런데가 붙으면 사과가 아니다. '내가 왜 그랬는지가 그 사람이 듣고 싶은 것이 전혀 아니라는 것을 우리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우리가 그때 왜 그랬는지를 자꾸 앉혀 놓고 설명하려고 들어요. 가끔은 말하는 사람이 합리적으로 사과하고 있다는 그 합리성은 사과를 받는 사람한테는 가장 비 합리적이고 비 논리적인 사과입니다.' 맞습니다. 우리가 했던 사과는 진심 어린 사과가 아니었습니다. 나의 잘못을 포장하고 변명을 하기 위한 가짜 사과였죠. 하지만 왜 진심 어린 사과가 중요한지 오늘의 강의를 보시면 큰 깨달음을 얻으실 거라 믿습니다. 그럼 오늘의 강의 시작해볼까요? 어느 날 저녁 뉴스를 통해 한 여자아이의 자살 소식을 알게 되었는데요...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